닌텐도 스위치 구매 가이드

닌텐도 스위치, 무엇이 특별한가?

닌텐도 스위치는 일본의 게임 회사 닌텐도가 2017년에 첫 출시한 게임기입니다. 휴대형1과 거치형2 방식을 스위치 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기기입니다. 얼핏 봤을 때 일반적인 휴대용 게임기로 보이는 이 기기는 화면 양옆에 컨트롤러를 분리할 수 있는데, 이 컨트롤러를 조이콘(Joy-Con)이라고 합니다. 두 개의 독립적인 컨트롤러로도 활용할 수 있는 조이콘을 통해 휴대 모드, 테이블 모드, TV 모드의 세 가지 플레이 방식으로 스위치를 즐길 수 있습니다.

  • 휴대 모드: 기기를 손에 들고 휴대용 게임기처럼 사용
  • 테이블 모드: 본체 스탠드를 세워두고 조이콘을 분리해 사용
  • TV 모드: 스위치 독을 TV에 연결하여 사용

종류: 기본형 VS 라이트 VS OLED

2017년 3월 첫 출시된 모델3은 2019년 7월 배터리 지속 시간이 길어진 개선판4이 나오면서 단종 됐습니다. 2019년 9월에 휴대형/저가형 모델인 스위치 라이트가, 2021년 10월에 가장 최신의 OLED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단종된 구형 모델을 제외하고 세 가지 모델(기본형, 라이트, OLED)을 비교해보겠습니다.

Switch (개선판)Switch LiteSwitch (OLED)
발매2019년 7월2019년 9월2021년 10월
디스플레이6.2인치 LCD5.5인치 LCD7인치 OLED
무게398g275g420g
저장 공간32GB32GB64GB
배터리 지속 시간약 4.5~9시간약 3~7시간약 4.5~9시간
휴대 모드 지원
테이블 모드 지원
TV 모드 지원
가격360,000원249,800원415,000원
FindForYou 추천🥈(2위)🥉(3위)🥇(1위)

스위치 안 되는 스위치 라이트

일체형 디자인으로 설계된 스위치 라이트는 작고 가벼워 뛰어난 휴대성을 자랑하며,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모델입니다. 그런데 일체형이므로 조이콘 분리가 불가능하고, 또 TV 연결도 지원하지 않아5 휴대 모드로만 이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스위치라는 이름에 걸맞는 본질적인 기능에서의 한계가 있기에, 저는 라이트보다는 기본형이나 OLED 모델을 더 추천드립니다.

무조건 휴대 모드로만 사용한다면? 그럼에도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HD 진동을 지원하지 않고 화면 크기가 작아 생동감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 휴대 모드를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하더라도 플레이가 제한되는 일부 게임들이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본형 VS OLED

그렇다면 기본형과 OLED 모델 중 어떤 것을 사야 할까요? OLED 모델은 기본형을 개선한 제품인 만큼, 희망 소비자 가격 기준 5만 5천원 더 비쌉니다. 저는 OLED 모델을 위해 이 정도 가격을 더 지불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이 바뀌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는 LCD에 비해 색감과 명암비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OLED는 각 픽셀이 자체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LCD처럼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깊은 검정 표현이 가능하고, 색상이 더 선명하고 생동감 있게 보입니다.

또한 화면의 베젤이 슬림해지면서 디스플레이가 6.2인치에서 7인치로 넓어졌습니다.

킥스탠드

본체 뒷면의 킥스탠드를 세워서 테이블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기존 스위치의 킥스탠드는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 스탠드가 본체 뒷면에 한쪽으로만 장착되어 있어 넘어지기 쉽고, 푹신한 표면 위에서는 제대로 서지 못합니다. 또한 눈높이나 환경에 맞게 각도를 조절할 수 없습니다.

OLED 모델에서 이와 같은 문제들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금속 재질의 넓어진 스탠드는 훨씬 안정적이고, 프리 스톱 방식을 채택해 원하는 각도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

OLED 모델은 더 나은 음질과 음압을 구현하기 위해 소리 메커니즘과 스피커 주변 구조를 새로 설계했습니다. 기존의 개방형 스피커에서 벗어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자주 사용되는 밀폐형 스피커를 채택해 소리의 충돌을 방지하고, 더욱 깨끗하고 강력한 음향을 제공합니다.

그 외

  • 내장 메모리가 32GB에서 64GB로 확장되었습니다.
  • 독에 USB 3.0 포트가 삭제되고 유선 LAN 포트가 탑재되었습니다.
  • 무게(조이콘 장착 기준)가 22g 늘어났습니다.

닌텐도 스위치

354,500원

(6160)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

250,000원

(902)

닌텐도 스위치 OLED

372,340

(2427)

주변기기 (악세사리)

본체에 대한 고민을 끝내셨다면, 이제 스위치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닌텐도 공식 및 비공식 주변기기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액정 보호 필름

화면에 오염과 스크래치를 막기 위해, 액정 보호필름은 꼭 부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기본형이나 라이트의 경우, 커버 글래스 재질이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스크래치에 아주 취약합니다.

OLED 모델의 경우, 일반 스마트폰처럼 강화 유리 재질의 커버로 변경되었고 비산 방지6 필름이 기본 부착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스크래치 방지를 위해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가적인 보호 필름을 부착할 때는, 기본 필름을 떼지 말고 그 위에 붙이라는 것이 닌텐도의 공식 입장입니다.

제가 소개해 드리는 가성비가 뛰어난 제품은 쿠디스 필름입니다. 필름 부착 후에도 선명한 화면을 유지해주고, 필름이 2개가 들어있어, 부착 중 실수를 하더라도 한 번 더 시도할 수 있습니다.

기본형, 라이트, OLED 모델 모두 화면 크기가 다르다는 점 구매하실 때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기본형)
쿠디스 강화 액정보호필름 2p 세트

4,900원

(1832)

(라이트)
쿠디스 강화 액정보호필름 2p 세트

4,900원

(1389)

(OLED)
쿠디스 강화 액정보호필름 2p 세트

4,900원

(1607)

파우치 (케이스)

스위치를 들고 다니려면 파우치 또한 필수입니다. 닌텐도에서 공식적으로 케이스들을 판매하는데 타사 비공식 제품들에 비해 가격이 비싼 편이지만, 디자인이 예쁘고 본체 액정 필름이 동봉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성비를 중시하는 분들이라면 비공식 제품들을 추천드립니다. 자신이 쓰는 본체의 크기에 적합한지, 충전기 등 본체 외의 물건들도 수납 가능한지, 본체 고정용 안전끈이 있는지, 게임 카트리지 보관 공간은 충분한지 등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비공식 제품 두 가지를 소개드리겠습니다.

스위치 휴대용 케이스 (동물의숲)

8,900원

(989)

스위치 휴대용 케이스 (마리오)

9,600원

(696)

컨트롤러 (프로콘, 조이콘)

조이콘을 분리하여 테이블 모드나 TV 모드에서 사용할 경우, 각각을 독립적인 컨트롤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작이 간단한 다인용 게임에 적합하지만, 크기가 작고 중앙에 버튼이 몰려 있어 장시간 또는 복잡한 게임용으로는 다소 부적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파츠를 ‘조이콘 그립’에 장착해서 하나의 일반적인 컨트롤러처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형, OLED 모델의 경우 조이콘 그립은 기본 구성품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더라도 일반적인 컨트롤러에 비해 그립감이 아쉽거나 버튼 배치가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일반적인 컨트롤러 형태의 프로 컨트롤러(프로콘)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통상적인 컨트롤러들과 비교했을 때, 가격이 조금 비싼 편이지만 그립감이 뛰어나고 배터리 시간이 매우 긴 것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조이콘을 추가적으로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분실이나 고장 시 대체용으로 구매할 수도 있지만, 더 많은 사람들과의 멀티플레이를 위해서도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 제공되는 한 쌍에 또 다른 한 쌍을 추가해서 네 명이서 함께 마리오 카트를 즐길 수 있습니다.

조이콘 그립 장착 전
조이콘 그립 장착 후

프로 컨트롤러(프로콘)

67,870원

(1556)

조이콘

45,700원

(670)

게임

카트리지(실물 칩) VS 다운로드(DL)

스위치는 카트리지와 다운로드 방식을 모두 지원합니다. 구입한 카트리지를 본체에 삽입해 물리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닌텐도 e숍(Nintendo eShop)을 통해 게임을 구매한 후 다운로드하여 저장 및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게임에 익숙한 분들은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알고 계시겠지만, 입문자분들을 위해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카트리지

장점

  • 물리적 수집욕 충족 가능
  • 중고 판매 가능
  • 저장 공간 걱정 없음

단점

  • 카트리지 교체의 번거로움
  • 분실 및 손상 우려

본체 상단의 게임 카드 슬롯 커버를 열고, 라벨이 보이는 면이 앞쪽을 향하도록 게임 카드를 삽입합니다.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밀어 넣으면 됩니다.

여러 개의 카트리지를 구매한다면, 전용 케이스나 카트리지 보관이 가능한 파우치 등을 통해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운로드

장점

  • 편리한 게임 전환
  • 원할 때 언제나 구매 가능
  • 빠른 로딩 속도

단점

  • 저장 공간 관리 필요
  • 분실 및 손상 우려

닌텐도 e숍에서 닌텐도 어카운트에 등록된 잔액으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등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잔액을 충전하려면 카카오페이를 이용하거나 닌텐도 선불 카드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여러 개의 소프트웨어를 구매한다면, 추가적인 저장 공간을 위해 SD카드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구매자에게 추가로 발생하는 비용은 없습니다.

  1. 예) 닌텐도 DS
  2. 예) 닌텐도 wii, 플레이스테이션
  3. 해외에서는 주로 ‘V1’ 또는 ‘Erista’라고 불림.
  4. 해외에서는 주로 ‘V2’ 또는 ‘Mariko’라고 불림.
  5. 구성품에 독 미포함이며, 독이 있더라도 연결 불가능.
  6. 유리가 깨질 경우 조각난 파편이 날리는 것을 방지
인덱스